자연에서 건강을 찾자~!

♥산 야 초 효 능♥ 159

♣진달래꽃의 효능과 민간요법♣

♣진달래꽃의 효능과 복용방법♣  진달래는 1~3cm자라는 낙엽활엽 관목이며,  잎은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은 4월에 3~6개가 가지끝에서 잎보다 먼저 핀다. 정원수로 이용하며 꽃은 식용가능하며,  산지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높이는 2∼3m이고 작은가지에 비늘조각이 있으며,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표면에는 비늘조각이 약간 있고 뒷면에는 비늘조각이 밀생하며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 6∼10 mm이며, 화관은 벌어진 깔떼기형 모양이다. 꽃 지름은 3∼4.5 cm로서 자홍색에서 홍색을 띠며, 수술은 10개이며 수술대 밑부분에 털이 있고, 암술은 1개로서 수술보다 훨씬 길다. 열매는 원통형이며 길이 2 cm 정도이다.   진달래꽃은 참꽃 또는 두견화라고도 한다. 꽃은 이른봄에 화전을 만들어 ..

♣자리공(장록)의 효능과 민간요법♣

♣자리공(장록) 효능과 민간요법♣  자리공의 키는 1m 정도이지만 더 큰 것도 있으며 뿌리는 비대하다. 잎은 길이가 20㎝ 정도의 넓은 피침형으로 어긋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잎과 마주나며 꽃대가 올라오는데 그 길이는 12~15㎝ 정도이다. 흰색 또는 연분홍색의 꽃은 꽃잎없이 꽃받침 5장, 수술 8개이고, 꽃밥은 연한 홍색이다. 씨방은 8개로 마늘처럼 모여난다. 열매는 9월에 외형이 포도송이처럼 익는다. 열매에는 즙액(汁液)이 있으며 검은색 씨가 1개씩 들어 있다. 생약명은 상륙(商陸)이지만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부른다. 주요성분으로 카리오풀 ·피토라카사우르 등이 있다. 유독성 식물이나 잎을 데쳐 먹기도 하며, 뿌리를 신장염 치료 및 이뇨제로 사용한다. 외형은 담배와 비슷하며, 민가 주변..

♣지초(지치)의 효능과 민간요법♣

♣지초(지치)의 효능과 복용방법♣  지치는 지초(芝草), 자초(紫草), 지혈(芝血), 자근(紫根), 자지(紫芝)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부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 나라 각지의 산과 들판의 양지 바른 풀밭에 나는데, 예전에는 들에서도 흔했지만 요즘은 깊은 산 속이 아니면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귀해졌다. 지초는 뿌리가 보랏빛을 띤다. 그래서 자초라는 이름이 붙었다. 굵은 보랏빛 뿌리가 땅속을 나사처럼 파고 들면서 자라는데 오래 묵은 것일수록 보랏빛이 더 짙다. 잎과 줄기 전체에 흰빛의 거친 털이 빽빽하게 나 있고 잎은 잎자루가 없는 피침 꼴로 돌려나기로 난다. 꽃은 5∼6월부터 7∼8월까지 흰빛으로 피고 씨앗은 꽃이 지고 난 뒤에 하얗게 달린다. 지초는 약성이 차다.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염증을 없애고 새..

♣세신(족두리풀)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세신(족두리풀)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족두리풀은 쥐방울덩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쥐방울덩굴과 족두리풀속에는 북반구의 온대와 난대에 약 100종이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는 잡선운족두리풀, 개족두리, 민개족두리, 청개족두리, 금오족두리풀, 청금오족두리풀, 족두리풀, 뿔족두리풀, 자주족두리풀, 민족두리풀, 각시족두리풀, 영종족두리풀, 황록족두리풀, 선운족두리풀, 무늬선운족두리풀, 황록선운족두리풀, 무늬황록선운족두리풀, 무늬족두리풀(진동족두리풀), 민무늬족두리풀 등이 자라고 있다. 꽃의 모양이 옛날 결혼식에 사용하던 족두리와 비슷하여 족두리풀이란 식물명이 붙여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식물도감이나, 약초책에서는 '족도리풀' 이라고 잘못 표기 되어 있다. 족두리풀은 다년초로서 뿌리줄기는..

♣연삼(바디나물)의 효능과 복용방법♣

♣연삼(바디나물)의 효능과 복용방법♣  바디나물(연삼)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줄기는 높이가 80~150cm로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깃모양 겹잎인데 작은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피침 모양이고 잎 밑이 잎줄기로 흘러 날개 모양을 이룬다. 8~9월에 자주색 또는 흰색 꽃이 가지나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길이 4mm쯤의 타원형이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산이나 들에 나는데 한국, 일본, 중국,등지에 분포하며, 바디나물의 어린순은 식용하고, 한방및 민간에서 뿌리를 말린 것을 일전호(日前胡)라하여 두통, 부인병, 해열, 진통, 진해, 거담, 기관지염, 감기, 진정, 빈혈, 이뇨, 건위, 치통, 등에 약용한다. 뿌리에는 약간의 사포닌, 0.2%의 정유, 노다케닌, 노다케네틴이 있다. 바디나물..

♣할미꽃(백두옹)의 효능과 민간요법♣

♣할미꽃(백두옹)의 효능과 민간요법♣  할미꽃은 주로 산과 들이나 산비탈 및 전야의 양지쪽 풀밭에서 잘 자란다. 특히 야산 무덤가에서도 잘 자란다. 아마도 늘 벌초를 해주고 잡목이 우거지지 않기 때문에 할미꽃이 자라기에 무덤이 이상적인 장소를 제공해주는 요인이기도 하다. 4월경에 솜털을 뒤집어 쓴 잎과 꽃줄기가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퍼진다.  전초에는 백색의 길고 부드러운 털이 조밀하게 덮여 있다. 꽃줄기는 꽃봉오리를 매단 채로 나오는데, 종 모양의 적자색 꽃은 고래를 숙이고 핀다. 꽃속에는 많은 노란색 꽃밥이 들어 있어 꽃잎과 잘 어울리는데 꽃줄기는 꽃이 핀 채로 25~40센티미터 높이까지 자란다. 원뿌리는 비교적 굵고 잎은 뿌리로부터 나오며 뭉쳐난다.  개화기에는 비교적 작고 결실기 이후에 커진다..

♣구룡초(개구리자리)의 효능과 민간요법♣

♣구룡초(개구리자리)의 효능과 민간요법♣   구룡초는 미나리아재비과의 두해살이 풀인 ‘개구리자리(Ranunculus sceleratus)’또는 놋동우, 놋동이풀 이라고 한다. 30~60cm 높이로 곧게 자라는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광택이 있고 속이 비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국의 각지에 분포하며 들판의 축축한 물이 흐르는 얕은 도랑이나 습지 등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뿌리 잎은 둥근 신장형으로 잎자루가 길고 잎몸이 3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 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잎몸이 3개로 깊게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좁은 피침형이다. 5~6월에 가지마다 꽃이 피는데, 노란색 꽃잎에는 광택이 있다. 달걀형의 수과열매는 겉면이 울퉁불퉁하다. 맛은 쓰고 매우며 차다. 청열, 해독한다...

♣백야초(약초) 발효액(효소)의 효능과 복용방법♣

♣백야초(약초) 효소 발효액의 효능과 복용방법♣    백야초(약초) 효소 발효액(백가지 야생 산야초로 담은 효소)는 양력 5월부터 10월 사이에 산과 들에서 나는 초목들 중에서 뿌리, 잎, 껍질, 열매 등을 채취하여 발효 시켜 숙성한 것을 말한다. 산야초에는 뿌리의 삼투압작용과 잎의 광합성 작용을 통해 흡수한 대지의 생명력과 태양에너지가 그대로 농축되어 있다.    산야초의 가치는 바로 뛰어난 생령력에 있다.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과 성인병 예방에 좋은 섬유질, 무기질 등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다. 백초효소가 좋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각종 미량 영양소와 효소, 생균이 풍부하게 함유되어있는 뿌리, 열매, 엽체에서 삼투압 원리를 이용해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백가지 이상의 산야초를 발효시킨다. 이렇게 발..

♣참옻나무의 효능과 복용방법♣

♣참옻나무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1, 암세포 죽이고 어혈 없애는 옻나무아름다운 꽃은 먼저 꺾이고 곧은 나무는 먼저 잘린다. 세상에서 쓸모 있는 것은 제명대로 살기 전에 해를 입는다. 그래서 미인은 박명(薄命)하고 천재는 요절(夭折)한다고 했다. 옻나무도 쓸모가 많아 해를 쉽게 당하는 그런 나무다. 옻은 고대에서부터 도료로서 매우 쓸모가 많았다. 그래서 옻나무를 많이 심었고, 큰 나무로 자라기 전에 다 잘라서 썼다. 2천 3백 년 전에 중국 송나라 몽현에서 옻밭지기(漆圖吏)를 지내기도 했던 철학자 장자(莊子)는 무용(無用)의 용(用), 곧 쓸모없는 것이 진짜 쓸모가 있음을 예찬하며 이렇게 한탄했다. "산의 나무는 쓸모가 있으므로 잘려 나가고, 기름은 불에 타기 때문에 스스로를 태운다. 계수..

♣아까시나무꽃(아카시아꽃)의 효능과 복용방법♣

♣아까시나무꽃(아카시아)의 효능과 복용방법♣  아까시나무는 ‘아카시아’로 알려져 있다. 아까시나무 종류는 열대지방에서 주로 자라는 진짜 아카시아와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미국 원산의 아까시나무가 있지만 전혀 별개의 나무다.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올 때 이 둘을 구별하지 않고 불러온 탓에 혼란이 생긴 것이다. 진짜 ‘아카시아’는 한반도에서는 자랄 수 없으므로 아까시나무라고 불러야 맞는 이름이다. 아까시나무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낙엽교목이다. 원산지에서 20~30미터나 자라고 지름이 2미터나 되는 것도 있다고 한다. ‘아까시’란 가시가 있다는 뜻으로 붙인 우리말이고, 우리가 아는 아카시아Acacia는 열대성관목을 가리키는 라틴어 속명이다. 1900년 초에 황폐지 복구용 또는 연료림으로 들여와 전국에 식..

♣애기똥풀의 효능과 활용방법(민간요법)♣

♣애기똥풀의 효능과 활용방법(민간요법)♣     애기똥풀(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의 키는 50㎝ 정도이며 줄기나 가지에 상처를 내면 노란색의 즙(汁)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지만 날개깃처럼 갈라져 있으며, 갈라진 조각 가장자리에는 조그만 톱니들이 있다. 노란색의 꽃은 5~8월에 가지 끝에서 산형(傘形)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잎은 4장이지만 꽃받침잎은 2장이며,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콩꼬투리처럼 익는다. 습기 있고 양지바른 길가나 밭가에서 흔히 자라며, 줄기를 자르면 나오는 노란색의 즙이 애기똥과 비슷하다고 하여 애기똥풀이라고 부른다. 가을에 줄기와 잎을 그늘에 말린 것을 백굴채(白屈菜)라고 하여 여름철 벌레 물린 데 사용한다. 또한 습진에 바로 딴 잎을..

♣산국화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산국화의 효능과 복용방법♣    산국화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산국 또는 감국의 꽃봉오리이다. 산국화를 야국화, 감국, 봉래화, 개국화, 산국, 야산국, 노변국, 황국자, 야황국, 귀자국, 산구월국, 고의 등으로 부른다. 가을에 산계곡에 노랗게 핀 산국화와 감국화의 진한 향기가 마음을 사로잡는다. 가을에 산과 들에 핀 감국화, 산국화, 쑥부쟁이, 구절초 등 대부분의 꽃들을 '들국화'라고 흔히 부른다. 산국화는 강압작용, 억균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풍열감기, 부스럼, 구창, 단독, 뇌질환, 인후종통, 폐렴, 고혈압병, 위염, 습진, 편도염, 자궁경부염, 눈을 밝게하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불로장수, 피로회복, 두통을 다스린다. 국화속에는 전세계 약 2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6종이 있다. ..

♣산머루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산머루의 효능과 복용방법♣  산머루는 포도과에 속하며 일명 산포도라 부르는 넝쿨성 목본식물로100∼1,300m 지역의 산기슭에서10m 안팎까지 자란다. 산머루는 포도과의 열매로 달콤하고 시큼한 맛이특징이다. 잎이넓은 포도과의 덩굴뻗는 나무로 흔히 왕머루, 조선산포도라고도 불린다. 9월-10월에 보라색에서 차츰까만색으로 열매가 익는데 맛이시면서 달아 특별한 간식거리가 없던 옛날 아이들의 좋은 먹거리였다. 산머루는 폴리페놀(polyphenol), 안토시아닌(anthocyanin),레스베라톨(resveratrol) 등을 다량 함류하고 있습니다. 폴리페놀은 껍질과 씨에 많이 들었으며, 몸속의 나쁜 콜레스테롤의 산화 방지로 동맥경화와 심장병을 예방하고, 활성산소를 감소시켜 여성들의 기미, 주근깨, 피부탄력 감소..

♣칡순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칡순의 효능과 복용방법♣    칡순은 칡의 어린싹을 가리키는 것으로, 그 효능이 녹용에 버금간다고 하여 갈용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칡은 아주 오래전부터 사람의 건강에 좋다고 하여 약재로 사용되어 왔는데, 봄에 자라나는 칡순에는 영양분이 아주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성장기의 어린이나 허약한 체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칡에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함유되기 때문에 골다공증에 취약해지고 갱년기 증상을 겪고 있는 중년 여성들에게 특히나 더 좋은 효능을 나타낸다고 한다. 칡은 오래전부터 숙취를 해소한다고 알려져 왔으며, 실제로 시중에서 구입하는 다양한 숙취해소제에 칡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칡은 음주로 인해 체내에 쌓인 알콜을 분해하여 숙취를 해소하고 간의..

♣ 삽추(삽주)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

♣ 삽추(삽주)의 효능과 복용방법♣     삽주는 위장을 튼튼하게 하는 것으로 이름난 약초다. 뿌리를 캐보면 묵은 뿌리 밑에 햇뿌리가 달려 있는데 묵는 뿌리를 창출이라 하고 햇뿌리를 백출이라고 부른다. 봄철에 부드러운 순을 따서 나물로 무쳐 먹거나  쌈을 싸서 먹을수도 있다. 삽추 싹은 가장 값진 산채중에 하나이다. 삽주는 오래 먹으면 무병장수할 수 있는 약초로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  삽주의 잎은 나물로 살짝 데쳐서 먹고 쓴 것을 싫어하는 사람은 물에 우려내어 먹을 수 있다. 삽주를 캐어서 집에서 잔뿌리를 모두 따내고 물로 씻는다. 그 다음 칼로 얇게 썰어서 그늘에서 말린다. 말려 놓았다가 언제든지 한줌을 꺼내어 후라이팬에 살짝 볶아서 약탕기나 아니면 스텐주전자에 물을 80퍼센트 붓고 반으로 줄어들도록..

♣곰보배추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곰보배추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곰보배추는 그 잎의 생김새가 올록볼록하게 생겨 얼굴에난 '곰보'를 연상케 한다고 하여 '곰보배추'라고 부른다. 경상도 지방에서는 '문디배추' 또는 '못난이배추'라고도 한다. 꿀풀과의 곧게서서 자라는 2년생 초본 식물이다. 흔히 한겨울에 눈이 수북히 쌓여있는 곳에서도 눈을 녹이고 얼굴을 내밀며 광합성 작용을 하는 놀라운 식물이다.     곰보배추는 지열을 이용하여 추운 겨울을 이겨낼 수 있는 내한성을 식물체내에 가지고 있다. 한겨울 눈속에서도 볼 수 있다고 하여 설견초(雪見草)라고 부르며, 푸른잎을 가지고 겨울을 지낸다고 하여 과동청(過冬靑)이라고도 한다.     코에 곰보배추 향기를 맡아보면 쏴하는 독특한 냄새가 코를 자극한다. 아마도 독특한 생김새와 냄새..

♣하고초(꿀풀)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하고초(꿀풀)의 효능과 복용방법♣ 꿀풀(하고초)은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크기는 높이 20~30cm 잎은 마주나기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둔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2~5cm로서 거치가 있거나 없으며 엽병은 길이 1~3cm 정도이지만 윗부분에는 없다. 꽃은 5-7월에 피고 양순형으로서 적자색이며 길이 1.5-2cm정도이다. 이삭꽃차례는 길이 3~8cm로서 꽃이 조밀하게 밀착하여 핀다. 포는 편심형이고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으며 각각 3개의 꽃이 달리고 꽃받침은 길이 7~10mm로서 뾰족하게 5개로 갈라지며 겉에 잔털이 있고, 하순은 다시 3개로 갈라지며 중앙 열편에 거치가 있다. 열매는 길이 1.6mm 정도로 황갈색이며 7-8월에 성숙한다. 협과는 마른채 가을까지 선채로 남아 있다...

♣천마의 효능과 복용방법♣

♣천마의 효능과 복용방법♣      천마는 난초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키가 30∼100센티미터 쯤 되며 외줄기로 곧게 자라고뿌리는 고구마처럼 덩이졌다. 덩이뿌리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18센티미터, 지름 2~4센티미터쯤이고 옆에는 뚜렷하지 않은 테가 있다. 줄기는 붉은 밤색이며 조그마한 잎이 듬성듬성 난다. 5∼6월에 싹이 나서 6~7월에 흰빛의 꽃이 피었다가 곧 시든다. 꽃줄기는 길이 10~30센티미터쯤 되는 달걀 모양의 삭과(朔果: 속이 여러 칸으로 나뉘고 칸마다 씨가 많이 들어 있는 열매)가 익는다.  뿌리를 천마라고 하고, 줄기를 적전(赤箭), 또는 정풍초(定風草)라고 부른다. 참나무 뿌리가 썩은 데서 다른버섯균과 공생하여 자라는 반기생식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를 비롯하여 경상남 북..

♣찔레나무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찔레나무의 효능과 복용방법♣  찔레(영실: 營實)는 산기슭이나 볕이 잘 드는 냇가와 골짜기에서, 1~2m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면서 자라고, 줄기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으며 잎은 타원형으로 어긋나고, 꽃은 5월에 흰색 또는 연한 붉은 색으로 새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열매는 둥글어 지름이 6∼9mm이며 9월에 붉은 색으로 익고, 한방에서는 찔레를 석산호, 열매를 영실(營實), 또는 색미자라는 약재로 쓴다.  비타민C가 제일 많이 들어있는 찔레 열매에는, 약간의 독성이 있으므로 독을 법제(찔레 열매를 말려서 술에 풀어 시루에 쪄서 말리기를 아홉 번 반복)하여 부종, 수종, 소변이 잘 안 나오는데, 야뇨증, 오줌싸개 등에 쓰고, 불면증, 건망증, 성 기능 감퇴에 효과가 있으며 이뇨제로도 쓰고, ..

♣우슬(쇠무릎지기)의 효능과 복용방법♣

♣우슬(쇠무릎지기)의 효능과 복용방법♣   쇠무릎풀은 비름과 쇠무릎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쇠무릎속은 전세계에 약 2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종인 쇠무릎이 자라고 있다.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네모진 줄기는 50~100cm 높이로 곧게 자라며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에 마주나는 타원형 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약간 있다. 8~9월에 줄기와 가지 끝의 수상꽃차례에 연녹색 꽃이 모여 달린다. 열매에 뾰족한 털이 있어서 사람의 옷이나 짐승의 털에 잘 달라붙는다. 봄에 돋는 어린순을 나물로 해 먹으면 맛이 좋다. 개화기는 8~9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쇠무릎의 다른 이름은 우슬(牛膝, 백배:百倍: 신농본초경), 회우슬(懷牛膝: 본초편설), 계교골(鷄膠骨: 민동본초), 우슬초, 쇠무릎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