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서 건강을 찾자~!

♥산 야 초 효 능♥ 159

♣사상자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사상자의 효능과 복용방법♣ 사상자라는 이름은 살모사가 이 풀 아래에 눕기를 좋아하고 그 씨앗을 먹는다 하여 뱀의 침대(蛇床)라는 뜻에서 유래한다. 사상자의 다른 이름은 사상자, 사주, 사속, 사상인, 사상실, 기과, 나두화자, 야회향, 우, 마상, 사익, 독자화, 뱀도랏, 뱀밥풀, 배암도랏 등으로 부른다.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 2회 깃꼴로 갈라지며 길이 5∼10cm이다.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의 밑부분은 잎집처럼 원줄기를 감싼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바소꼴이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흰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복산형꽃차례로 달린다. 소산경은 5∼9개이며 길이 1∼3cm로서 각 6∼20개의 꽃이 달린다. 총포는 4∼8개이고 줄 모양이며 길이 1cm 정도이고 작은총포는..

♣당근의 효능과 복용방법♣

♣당근의 효능과 복용방법♣ 당근은 당나라에서 처음 들어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색깔이 예뻐서 음식의 모양을 내기 위해 많이 쓰는데, 당근이 몸에 좋은 이유도 바로 이 색깔에 있다. 당근이 주홍빛을 띠는 것은 베타카로틴이라는 성분 때문으로, 색깔이 진할수록 베타카로틴이 많이 들어 있다. 다른 식품에도 베타카로틴이 들어 있긴 하지만 함유량이 당근을 따라오지 못한다. 베타카로틴은 우리 몸 안에 들어가 비타민A로 바뀌기 때문에 프로비타민A라고도 한다. 비타민A는 피부를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있어 부족하면 살결이 거칠어진다. 뿐만 아니라 피부의 저항력도 떨어져 여드름이 잘 생기고 쉽게 곪는다. 또한 베타카로틴은 발암 물질과 독성 물질을 무력화시키고, 유해 산소가 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을 막는다. 예전에 일본에..

♣다시마의 효능과 복용방법♣

♣다시마의 효능과 복용방법♣ 1. 콜레스테롤 수치와 혈압을 내려요!다시마에는 성인병을 예방하는 성분이 많다. 특히 ‘알긴산’이라는 식이섬유는 콜레스테롤 수치와 혈압을 내리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다시마의 미끈거리는 성분이 바로 알긴산인데 이 성분은 장 속에서 콜레스테롤, 염분 등과 결합해 변과 함께 배설된다. 또한 혈전이 생기거나 간장에서 콜레스테롤이 합성되는 것을 막는 등 고혈압과 동맥경화를 직·간접적으로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아미노산의 일종인 ‘라미닌’은 혈압을 내리고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달라붙는 것을 막는다. 다시마에 들어 있는 칼륨 역시 나트륨을 밖으로 내보내 혈압을 내리는 역할을 한다. 2. 혈당치를 내려 당뇨를 막아요! 다시마는 칼로리가 거의 없어 당뇨 환자에게 좋은 식품이다...

♣고구마의 효능과 복용방법♣

♣고구마의 효능과 복용방법♣ 고구마의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로서 콜럼부스가 미대륙을 발견하기 이전에 이미 오래전부터 식량으로 재배하여 왔으며 주정용, 전분용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고구마가 처음들어온 것은 조선시대 영조 39년(1763년) 10월로 그 당시 일본에 통신정사로 갔던 조엄이 대마도에서 고구마를 보고 이것이 구황작물로 중요한 것으로 여겨 씨고구마를 구하여 부산진으로 들여온 것이 처음이었고 이듬해 조엄이 귀국길에 다시 씨고구마를 구해서 동래지방 및 제주도에 심도록 한 것이 시초였다. 메꽃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재배 식물. 감저(甘藷)·조저(趙藷)라고도 한다. 줄기는 땅위를 기며, 잎은 어긋나게 나고 잎 모양은 심장꼴이다 .줄기 밑쪽의 잎자루 아래서 뿌리를 내려 그 일부는 땅속에서 덩이뿌리,..

♣화분(꿀벌꽃가루)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화분(꿀벌꽃가루)의 효능과 복용방법♣ 화분이란 사람의 눈길을 끌만큼 크지도 않고 화려하지도 않은 한포기 식물의 꽃 속에 담겨진 1/150mm의 미립자로 종종 매스컴을 통해서 가려운병, 기침병, 눈병을 일으키는 가루라고 알려지기만 했었다. 그러나 그런 것은 대부분 풍부화이다.꿀벌이 뭉쳐오는 화분은 두뇌와 육체의 피로를 회복 시켜주는 완전한 건강식품이다. 크기는 통상 직경 2mm이고 무게는 10~25mg이다. 그러면 일벌이 어떻게 화분을 가져오는지? 영양가는 어떤지? 사람들에게 어떤 곳에 어떻게 좋은가를 알아보자. 일벌들이 화분을 가루로 운반 한다는 것은 불가능 하다. 일벌들은 꽃가루를 벌의 타액(즉 꿀)로 반죽하여 직경 2mm남직한 구형의 덩어리를 만들어서 뒷다리에 뭉쳐 가지고 벌집으로 돌아온다. 그래서..

♣돼지감자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돼지감자 효능과 복용방법♣ 돼지감자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살이풀로써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입니다. 농촌의 농가 주위나 산비탈의 양지바른곳에서 주로 서식하며 1.5~3m정도 자란다. 돼지감자를 캐는 시기는 서리가 내리는10월 중순부터 다음해 4월정도가 가장 적기이며, 잎이 지고나면 돼지감자대는 마치 해바라기 줄기와 매우 흡사하다. 양지 바르고 땅의 살이 좋으며, 배수가 잘되는곳의 돼지감자는 한그루의 뿌리에 2kg정도 나가는 것도 있으며, 돼지감자는 다른 감자류와 달리 신비의 물질이라는 "이눌린"이라는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데, 이 이눌린은 우리몸의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과당으로 변한다고 한다. 채취할 때 작은 덩어리는 씨감자로 활용하고 큰 것을 식용할 수도 있다. 돼지감자는 땅의 지력을 ..

♣개별꽃(태자삼)의 효능과 민간요법♣

♣개별꽃(태자삼)의 효능과 민간요법♣ 개별꽃은 석죽과 개별꽃속에 속하는 다년생 풀이다. 개별꽃은 전세계에 약 1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좁은잎개별꽃, 참개별꽃, 덩굴개별꽃(덩굴들별꽃), 개별꽃(들별꽃), 긴개별꽃, 다화개별꽃, 지리개별꽃, 큰개별꽃(큰들별꽃), 숲개별꽃(가는잎들별꽃)이 자라고 있다. 주로 숲속 및 부식질이 풍부한 토양에 자라며 높이는 10~20센티미터이고 방추형의 뿌리는 1~2개씩 달리는데 줄기는 1~2개씩 나오고 흰털이 있다. 잎은 대생 즉 마주나고 피침형이며 길이 1~4센티미터이다. 위쪽 잎은 크고 십자형(十)이며 아래쪽 잎은 좁아져 잎자루 모양이 된다. 가장 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꽃은 흰색이고 잎겨드랑이에 1송이씩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2~3센티미터 꽃받침은 5장이고 꽃잎도 5장..

♣죽순의 효능과 복용방법♣

♣죽순의 효능과 복용방법♣ 죽순은 대나무의 땅속줄기로부터 가지가 갈라져 나온 어리고 연한 싹이다. 마디 사이가 아주 짧아서 각 마디에 1매씩 좌우로 번갈아 달려 있는 대나무의 껍질은 2줄로 단단히 감겨 있다. 선단부 조직은 수조직(髓組織)과 횡격벽(橫隔壁) 조직이 교대로 빽빽하게 겹쳐 있으나 마디 사이의 생장이 너무 빠르기 때문에 수조직의 분열증식이 이를 따라 갈 수 없어 틈이 생기게 된다. 틈이 차츰 커져서 공동(空洞)이 되고 수조직은 말라죽어 내벽에 종이모양으로 달라붙으므로 이를 죽지(竹紙)라고 한다. 죽순에 들어 있는 단백질의 약 70%는 단백질이 아닌 티로신 아스파라긴 발린 글루타민산 등의 아미노산과 베타인 콜린 등이어서 독특한 맛이 난다. 죽순 고유의 맛은 글루타민산 등이 어울려 생기는 것이다...

♣꼭두서니(천초)의 효능과 민간요법♣

♣꼭두서니(천초)의 효능과 민간요법♣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꼭두서니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가삼자리. 갈퀴잎이라고도 한다. 산지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며 길이 약 2m이다. 뿌리는 굵은 수염뿌리로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이다. 줄기는 네모나고 가지를 차며 밑을 향한 짧은 가시가 난다. 잎은 심장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으로 4개씩 돌려나는데, 2개는 정상잎이고 2개는 턱잎이다. 길이 3∼7cm, 나비 1∼3cm이고 잎자루가 길다.  꼭두서니는 곡도, 곡도손이, 곡도숑 등에서 변화된 순우리말 이름이다. 뿌리에서 천연염료를 추출 할 수 있는데 이를 꼭두서니색이라 말하며, 이 색은 약간 황토빛이 도는 빨간색이다. 한방에서는 꼭두서니의 뿌리를 '천초근'이라 하여 약용한다. 민간에서는 약주로 꼭두서니주를 담가먹기도..

♣노린재 동충하초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노린재 동충하초의 효능과 복용방법♣ 동충하초는 버섯의 균사체가 동절기에 곤충의 유충이나 성충의 체내에 잠복해 있다가(冬蟲), 하절기에는 곤충의 체내에서 버섯으로 피어나는(夏草) 신비의 버섯이다. 동충하초는 중국의 청해, 사광, 운남성 등지의 해발 4,000m이상의 인적이 드문 고원지대에서 자생하는 버섯으로 예로부터 그 가치를 매우 귀중하게 여겨 인삼, 녹용을 능가하는 신비의 불로초라 불리워졌습니다. 동충하초의 종류로는 왕잠자리동충하초, 노린재동충하초, 풍뎅이동충하초, 번데기동충하초, 눈꽃동충하초, 거품벌레동충하초, 벌동충하초 등 많이 있다. 기존의 누에 동충하초라 일컫는 것들은 면밀히 살펴보면 누에에 종균을 접종했다고는 하지만 실상은 번데기에서 자실(버섯)이 피어 오른 것들이다. 따라서 누에에 접종한 ..

♣박하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 박하의 효능과 복용방법 ♣ 우리나라 각처의 개울가와 저지대의 습지에 나는 다년초로 강한 방향성을 갖는 다년생의 향신식물로 유럽과 아시아가 원산이다. 휘발성 실물유를 얻기 위해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에서 경작되어진다. 높이는 60cm 가량이며, 전체에 짧은 털이 있고, 향기가 좋으며, 땅속줄기를 뻗어 번식한 다. 땅위줄기는 모가 지고, 곧게 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엽서는 대생이고, 엽신은 긴 타원형이고 엽병이 있다. 길이 2-5cm 정도이고, 엽첨과 엽각이 다 날카롭고 엽연에도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흰색으로 꽃자루가 있고, 잎겨드랑이에 모여 공 모양을 이루고, 끝은 4갈래로 나뉘어져 있다. 수술은 4개이고 암술대는 2갈래이다. 과실은 소견과로 난형이다. 잎은 자루가 있는 홑잎으로 마주나고 ..

♣결명자의 효능과 복용방법 및 부작용♣

♣결명자의 효능과 복용방법 및 부작용♣ "몸이 천냥이면 눈이 구백냥 이다" 속담이 말해 주듯 눈은 우리 몸의 소중한 기관이다. 하지만 컴퓨터 사용이 늘어나면서 현대인의 눈은 매일 혹사당하고 있다. 큰 돈 들이지 않고 온 가족의 눈을 돌볼 수 있는 효자 식품이 바로 결명자다. 눈이 충혈돼 붉게 보이는 현상을 없애주는 특효약이다. 눈을 밝게 해주는 효능이 뛰어나 눈병 치료에도 쓰인다. 결명자는 말 그대로 해석하면 눈을 밝게 해주는 씨앗이라는 뜻이다. 결명자는 당근과 함께 눈의 필수 영양소인 카로틴을 함유하고 있어 시리고 뻑뻑한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은 물론 야맹증 개선에도 좋다. 또한 간화를 내려 눈이 충혈되고 붓고 아프며 눈물이 흐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결명자는 눈의 열을 내리고 맑게 하며 눈을 밝게 하..

♣바위취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바위취의 효능과 복용방법♣ 바위취는 범의 귀풀이라고도 한다. 고산지대에서 자라며, 높이 약 20cm이다. 전체에 털이 조금 난다. 바위취는 숲속 물기 있는 바위 틈에 잘 자란다고 해서 바위취라 한다. 어린 잎에 부드러운 털이 촘촘히 난 모습이 호랑이 귀를 닮았대서 범의귀 또는 호이초(虎耳草)라고 하며, 활짝 핀 꽃이 한자의 큰 대자[大]를 닮았대서 대문자꽃이라고도 한다. 번식력이 강해서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어놓으면 뿌리에서 옆으로 뻗는 줄기가 나와 그 끝에서 자꾸 새로운 싹을 만들어 금방 주위를 독차지 하는 강인한 식물이다. 추위에 매우 강해서 다른 잎이 다 져버린 한겨울에도 보송보송한 털을 덮고 바위 틈에 웅크리고 있다. 남부지방에서 상록성 다년생 초본으로 반음지의 습윤지와 정원석사이에 심으면 지피 ..

♣가물치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가물치의 효능과 복용방법♣ 가물치(여어) 몸길이 50∼60cm이며 최대 몸길이 1m까지 자라는 것도 있다. 몸은 가늘고 길며 몸통의 횡단면은 거의 원형이다. 머리의 앞부분은 위아래로 납작하고, 꼬리 부분은 옆으로 납작하다. 눈은 머리의 앞쪽에 치우친다. 입은 크며 주둥이는 짧고 뾰족하다. 이빨도 크고 날카롭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약간 길다. 아가미 부근에 상새기관(上器官)이라는 부속 호흡기관이 있는데, 이것으로 입으로 흡입한 공기를 호흡한다. 지느러미에는 가시가 없다. 몸빛깔은 등쪽이 어두운 갈색, 배쪽이 회색빛을 띤 흰색이거나 노란색이다. 옆줄의 위아래에 약 13개의 흑갈색 얼룩무늬가 있고, 눈에서 아가미뚜껑까지 2개의 흑갈색 띠가 있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어두운 노란색이고 등지느러미·뒷지느..

♣갈대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갈대의 효능과 복용방법♣ 갈대는 물가에서 흔히 자라는 여러 해 살이 풀이다. 매우 귀하게 쓰이는 약초이지만 너무 흔하므로 그 중요성을 잊기 쉽다. 늪, 강기슭, 습지, 바닷가 기슭에서 떼지어 자라며 2~4m쯤 자라고 줄기의 속은 비어 있으며 잎은 30~50cm 정도된다. 꽃에 명주실 같은 털이 많이 덮여 있어 바람에 날아갈 때 장관을 이룬다. 갈대가 처음 나올 때를 "가"라고 하고, 좀 커지면 "노(蘆)"라고 하며 완전히 자란 것을 "위(葦)"라고 한다. 갈대의 땅속 어린 줄기를 노순, 또는 위아라 하여 죽순처럼 요리를 해서 먹는데 연하고 맛이 달다. 날 것으로 먹기도 하는데 약간 싸아한 맛이 난다. 옛날 중국에서는 갈대의 어린 싹을 매우 귀한 요리 재료로 여겼으며 지금도 동남아시아 지방에는 갈대 순으..

♣대추의 효능과 복용방법♣

♣대추의 효능과 복용방법♣ 대추나무의 줄기에 가시가 있으나 오래되면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고 밑이 약간 넓은 난형이며, 3개의 잎맥이 뚜렷이 보인다. 잎 윗면은 연한 초록색으로 약간 광택이 나며 잎가장자리에는 잔 톱니들이 있다. 잎자루에 가시로 된 턱잎이 있다. 꽃은 연한 초록색이며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조그만 취산(聚繖)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꽃잎·꽃받침잎·수술은 각각 5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인 대추는 길이가 2.5~3.5㎝ 정도 되는 타원형 핵과(核果)로, 9~10월에 푸른색을 띤 붉은색으로 익는데 겉껍질은 가죽질이며 과육은 솜을 단단히 눌러놓은 것 같고 그 안에 씨가 들어 있다.대추는 냄새가 나고 신맛이 돌지만 달기 때문에 날것으로 먹기도 하는데 대개 말려서 떡이나 약식 등에 넣어 먹는다. ..

♣구기자나무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구기자나무의 효능과 복용방법♣ 한국은 구기자 나무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열매를 사용한다. 중국은 영하구기자를 사용하고 일본은 구기자나무및 영하구기자를 사용한다. 구기자는 가시가 헛개나무와 비슷하고 줄기는 버드나무와 비슷하여 두글자를 합쳐서 枸杞(구기)라고 불렀다고 한다. 구기자의 이명으로 첨채자(甛菜子), 서구기(西枸杞), 구기자(苟杞子), 구기(枸杞), 구계(枸?), 구극(枸棘), 고기(苦杞), 천정(天精), 지골(地骨), 지보(地輔), 지선(地仙), 각서(却暑), 양유(羊乳), 선인장(仙人杖), 서왕모장(西王母杖)이 있다. 옛 노나라에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로 높은 관리가 민정을 살피던 중 나이 어린 소녀가 회초리를 들고서 이빨이 다 빠지고 흰 수염이 난 노인을 쫓아다니는 이상한 광경을 보고 소녀에게 ..

♣강아지풀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강아지풀의 효능과 복용방법♣ 강아지풀(Setaria viridis(L.) Beauvois)은 화본과(벼과) 강아지풀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강아지풀속은 열대에 약 1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4종이 분포하고 있다. 강아지 풀은 들에 흔하게 자라며 높이가 30~40cm이다. 뿌리는 수염 모양이고 줄기는 곧게 자라거나 또는 밑부분에서 무릎모양으로 구부러졌고 일반적으로 비교적 가늘고 약하다. 작은 이삭은 길이가 2~2.5cm이고 타원형 모양이며 끝은 무디다. 원추화서(圓錐花序)는 촘촘하고 빽빽하게 모여 원기둥 모양을 이루며 길이는 2~15cm이고 약간 꼬부라져 있거나 반듯하고 푸른색 또는 자주색이거나 황색이고 강모에 싸여 있다. 첫 번째 이삭은 난형이고 3맥이 있으며 길이는 작고, 두 번째 이삭은 ..

♣조각자나무의 효능과 복용방법(민간요법)♣

♣조각자나무의 효능과 복용방법♣ 조각자 나무의 잎은 어긋나며 3~6쌍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길이 1~9cm, 나비 5~35mm의 긴 타원형 또는 댓잎피침형으로서 양 끝이 둔하거나 약간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둔한 톱니가 있다. 앞면의 주맥과 맥 위에 갈색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에는 맥 위에만 갈색 털이 약간 있다. 꽃은 6월에 엷은 황백색 꽃이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양성화이다. 열매는 10월에 길이 20cm, 나비 3cm쯤 되는 두꺼운 협과가 달려 익는데 꼬투리는 편평하고 비틀리지 않으며 쪼개면 매운 냄새가 난다. 조각자(皁角刺)·조협(皁莢)이라고도 한다. 조각자란 가시가 뿔처럼 달려 있는 모양을 의미하며 조협은 콩깍지가 나무에 주렁주렁 열리기 때문에 생긴 ..